
1 team


지도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모델을 사용하여 사람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향수를 추천해주는 AI 서비스를 제작했다.

1 team
🔔 멘토

✋ 제작자



🚀 활동 설명
👉 분위기에 어울리는 향수를 추천해주는 AI 서비스
저희 프로젝트의 주제는 사람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향수를 추천해주는 AI 서비스입니다.
첫째,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상대방의 분위기(e.g. 지적이다, 귀엽다, 청순하다, 우아하다, 시크하다 등)를 머신러닝 모델이 얼마나 잘 학습할 수 있을까?
둘째, 어울리는 분위기의 연예인을 함께 설명해주는 기존 향수 마케팅 전략에 기반하여 '분위기와 향'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우리 모델이 예측한 사용자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향수를 추천해주자.
이 두 가지 Task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해당 프로젝트는 총 13개의 class로 이루어진 6650장의 얼굴 사진 데이터셋과, 지도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모델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Go to AI_Perfumer Service
🙋🏻♂️ 발표 영상
💭 활동 소감
🎤 장윤정
방학 동안 프로젝트의 일련의 과정을 경험해 보면서 앞으로 발전시킬 태스크의 훌륭한 초석을 닦은 것 같습니다. 그런 환경을 제공해 준 SMARCLE은 최고의 동아리! 최고의 팀원들!❤
🎤 박지하
비슷한 관심주제를 갖는 팀원들과 함께 2달동안 같이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고, 잘 몰랐던 팀원들과 좀 더 가까워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무엇보다도 2달이라는 시간 내에 완성도있는 결과를 낼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뿌듯했고, 앞으로 2학기중에 진행되는 창의학기제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발전해나갈 생각에 기대가 됩니다.
🎤 강호연
얼굴인식에 대한 개념이 아예없는 상태에서 시작했는데, 메이커스데이를 통해서 데이터를 크롤링하고 분류하면서 학습에 도움이 되었고 미숙했던 부분들을 더 발전시켜서 멋있는 완성작을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김지은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8주였지만, 메이커스데이 프로그램을 통해 더 의미 있는 8주를 보낼 수 있어서 뿌듯한 시간이었습니다. 팀원들과 창의학기제로 조금 더 발전된 프로젝트를 진행해봐야겠다는 다짐이 들었습니다. :)
📖 Go to Github
2 team

COVID19로 인해 박람회가 취소되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박람회 플랫폼을 제작했다.
HTML, CSS로 구성한 페이지에 JavaScript로 동적 효과를 추가하고 name-tag을 등의 부가 기능을 통해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2 team
🔔 멘토

✋ 제작자



🚀 활동 설명
👉 방구석 박람회, 온라인 박람회 플랫폼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 박람회가 연달아 취소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관료와 위약금을 둘러싸고 금액적 분쟁이 일어나고 있고 나아가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진출 기회가 축소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박람회에 방문하여 새로운 기술을 접하고 싶어하는 이들의 기회 또한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박람회 플랫폼을 제작했습니다.
HTML과 CSS로 페이지를 구성하고 JavaScript로 동적 효과를 더하여 참가자의 박람회에 대한 몰입감을 극대화 했습니다.
입장·접수·부스 방문 과정으로 실제 박람회 참가 시 경험하는 순서를 따르도록 제작하여 현장감을 주었습니다. 더하여 방명록 화면과 name-tag 애니메이션, 미모티콘, 전광판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figma로 플랫폼 개발 로직을 기획하고, 역할을 분담했습니다. Github를 이용해 협업을 진행했고 netlify를 통해 배포했습니다.
🙋🏻♂️ 발표 영상
💭 활동 소감
🎤 유지원
여름 방학이 웹으로 시작해서 웹으로 끝났어요! 방학 간 배운 것을 토대로 우리만의 웹 사이트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 행복했습니다. 깃허브 협업은 해도 해도 어려운 듯해요. 그래도 처음 했던 협업보다는 더욱 체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고 그 발전에 너무 행복했습니다! 웹 공부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1학년 여름방학에 웹을 한 건 정말 감사한 선택이었습니다.
🎤 김용현
8주 간 웹을 접해보면서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시각을 얻었고 8주가 엄청 짧게 느껴질 만큼 더 연구해 보고 싶었습니다. 혼자 공부하는 것이 아닌 다같이 공부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깃허브도 다룰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 노지민
협업 프로젝트 안에서의 개발의 티키타카가 너무 즐겁고 짜릿했습니다. 역시 깃헙은 많이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새삼 다시 깨닫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사회적 공간적 제약 없이 많은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웹으로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 Go to Github
3 team

편하게 의류 재고를 확인할 방법을 고민하고 키오스크가 사용자의 옷을 분류하고 스타일을 추천해주는, AI를 이용한 의류 분류 시스템을 개발했다.

3 team
🔔 멘토

✋ 제작자



🚀 활동 설명
👉 무인 의류 매장 시스템
무인 매장이 급증하는 추세를 고려하여, 의류 매장이 무인화된다면 어떤 구조의 시스템이어야 할지 팀원들과 기획하였습니다.
첫째로 기존의 재고 관리 시스템이 비효율적임을 인식하고, 최소의 작업으로 의류 재고를 더 편하게 확인할 방법을 고민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키오스크가 사용자의 옷을 분류하고 스타일을 추천해주는, AI를 이용한 의류 분류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저희 팀은 이 시스템이 1) 키오스크 앞에 선 사용자의 상의 인식, 2) 상의 분류 및 추천, 3) 사용자가 선택한 상의의 재고 확인 및 관리라는 일련의 단계를 거치도록 구성했습니다. 또한 시스템 요소별로 Arduino에 의한 재고 관리, Classification, UI와 Communication 파트를 나누어 각각 강인영, 김수환, 김민솔 팀원이 담당했습니다.
재고 관리 파트에서는 과자 자판기에서 착안한 시스템 모형틀을 설계하였고, 서보 모터 등의 부품이 작동해서 물품이 자동으로 나오도록 아두이노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또한 pandas로 재고 DB를 구축한 다음, pyqt5를 이용해 재고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gui를 구성했습니다. Classification 파트에서는 teachable machine으로 상의를 3개의 클래스(블라우스, 후드티, 티셔츠)로 분류하는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data full version으로 이 모델을 재학습하였고, MobilenetV3 Small로 모델의 성능을 높인 결과 0.7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CAM(Class Activation Map)을 통해 클래스 분류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였습니다. Communication & UI 파트에서는 opencv를 이용해 웹캠으로 인식된 사용자의 상의 이미지를 크롭한 뒤, 예측 모델을 불러와 이를 분류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후 2주간의 Sync up 작업을 거쳐 모든 파트가 Python으로 연동되도록 하였습니다.
🙋🏻♂️ 발표 영상
💭 활동 소감
🎤 강인영
대부분 Python을 이용해서 다양한 라이브러리 학습할 수 있어 많이 성장한 기분이었습니다. 8주 간 하나의 목표로 열심히 달려온 팀원들이 대견하고 그 어떤 방학보다 알차게 보낼 수 있어 기뻐요^~^, 심동현 선배님께 이 영광을 돌립니다.
🎤 김수환
의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던 방학이 되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많이 도와주신 멘토님 너무 감사하고, 우리 팀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 김민솔
팀원들이 힘을 합쳐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이번이 처음이었는데 도와주신 덕분에 잘 마무리된 것 같습니다! 멘토님과 3조 모두 정말정말 수고하셨어요..!
📖 Go to Github
5 team

아두이노를 통해 구현한 화재탐지기와 앱인벤터로 제작한 앱을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화재 알림 시스템'을 구현했다.

5 team
🔔 멘토

✋ 제작자




🚀 활동 설명
👉 화재 알림 시스템
저희 5조는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있는 공장 및 가정 화재에 미리 대처하고자 이번 프로젝트에서 아두이노와 앱제작을 통해 '화재 알림 시스템'을 구현해보았습니다.
불꽃 감지 센서와 가스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탐지기를 만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앞서 언급한 센서 들의 학습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HC-06)을 이용하여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값들이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더불어 3D프린터로 화재탐지기 모형을 만들어 '화재 알림 시스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화재탐지기가 전달하는 정보들을 앱에 나타내고자 하였고 '앱인벤터'를 이용하여 앱제작을 진행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아두이노를 통해 구현한 화재탐지기와 앱인벤터로 제작한 앱을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화재 알림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였습니다.
🙋🏻♂️ 발표 영상
💭 활동 소감
🎤 정유찬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팀활동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대단한 작품이 아니어도 굉장히 오랜시간 공들여 팀원들과 함께 만들어서 아주 뜻깊고 소중한 시간들이었습니다.
🎤 이영광
이번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팀원들과 협력하여 머릿 속으로 구상하였던 아이디어를 실현해가는 과정을 거쳐갔고 이 같은 경험 속에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우선, 처음의 막연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닌 부족한 부분을 알고 자바 및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에 대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해가며 프로젝트에 관한 지식을 쌓아갈 수 있었던 경험이 매우 뜻깊었고, 각 주차 별 이용할 센서에 대해 조사하고 조원들과 의견을 교환해가며 하나하나 이뤄가는 과정이 있었기에 프로젝트의 마무리가 더욱 빛이 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 신아진
비록 중간에 사용하지 못하는 제품 문제로 계획을 바꾸기도 하였지만 그 과정속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해가며 유의미한 결과물을 만들어 낸 것이 뿌듯합니다. 혼자가 아닌 팀원들과 같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며 완성시킨 프로젝트라 더 뿌듯한 것 같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앞으로 또 있을지도 모르는 프로젝트 참여에 큰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 송지원
계획을 세울 때는 뭐든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역시 해보면서 수정해 나가는게 중요하단걸 느낀것 같습니다. 생각만큼 잘 진행되지 않은 부분들도 있었지만 팀원들과 함께 고민하니까 확실히 혼자 고민할 때 보다 빠르게 다른 방향을 찾을 수 있었고 만나지 못했던 부원들을 만나서 재밌었고 아직 만나지 못한 다른 부원들도 얼른 만나고 싶습니다!
📖 Go to Github
6 team

기존의 휠체어 리프트보다 조작이 편하도록 블루투스 조작이 가능한 휠체어 리프트로 기존의 방식을 개선했다.

6 team
🔔 멘토

✋ 제작자



🚀 활동 설명
👉 블루투스 조작이 가능한 휠체어 리프트
저희 조는 지난 2017년에 일어난 신길역 휠체어 리프트 추락 사고를 계기로 기존의 휠체어 리프트보다 조작이 편하도록 블루투스 조작이 가능한 휠체어 리프트로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몸체는 우드락으로 만들었으며 상승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부품은 3d 프린터로 출력했습니다. 회로는 아두이노, 기어드 모터,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앱 인벤터, arduino IDE을 이용하여 코딩했습니다.
More information
🙋🏻♂️ 발표 영상
💭 활동 소감
🎤 유정수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하드웨어 부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많이 힘들었습니다. 특히, 상승 시스템 구현을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조원과 의논하면서 최선의 방안을 선택할 수 있었기에 빨리 해결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부원들과의 협동심도 기를 수 있었습니다. 이런 소중한 기회를 만들어주신 스마클 및 집부님들께 감사의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
🎤 현희섭
대학교와서 처음해 본 활동인데 이런 과정을 통해서 대학생이 되본 느낌이었고 팀끼리 열심히 해서 좋았던 경험인 것 같았습니다!
🎤 김관엽
프로젝트라는 것을 진행하고 직접 작품완성까지 해봤다는것 자체가 엄청난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균형있게 다뤄보면서 향후 진로 설정에도 도움이 되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팀원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협업하면서 즐거웠다는 점이 특히 고무적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실력을 많이 키워서 다음번 활동부터는 좀 더 팀에 보탬이 많이 될 수 있게끔 해야겠습니다.